무직자 월세 환급, 월세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월세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최선의 선택은 어느 것일까요? 차이점을 비교 해보고 더 유리한 환급 방법을 선택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내가 지출한 월세는 연말정산 때 조건에 따라 최대 750만원 까지 환급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계산 예시1년간 총급여가 5,000만 원인 사람이 6평 크기의 원룸(오피스텔, 고시원 포함) 거주하고 있고, ➡️ 총급여가 5,500만원 이하이므로 공제율 17% 적용➡️ 6평 크기 원룸 거주는 국민주택규모(25.7평, 85㎡) 이하이므로 공제 가능1년간 매달 월세를 50만 원씩 냈습니다. 월세 세액공제 가능액은? ➡️ 50만 원 × 12개 월 × 17% = 1백 2만원 환급 가능

월세 환급 시 공제 기준, 월세 환급 한도, 공제율, 신청 서류, 신청 방법 등 여러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월세 환급 시 집주인 동의 여부가 반드시 필요한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다만, 세금을 내는 사람에 해당하며 무직자는 월세 환급 불가 합니다.

1. 월세 세액공제 VS 소득공제 비교

월세 환급은 세액공제와 소득공제로 구분됩니다. 단, 중복 환급 불가 합니다.

나에게 더 유리한 환급은 어느 것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세액공제는 한해 동안 지출한 월세 합산액에서 세금을 빼주는 제도로써, 세율을 적용한 세액에서 한번 더 세금을 줄여 주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근로소득이 있어야 하므로 연말정산할 때 회사에 서류로 제출하면 됩니다.

소득공제는 한해 동안 지출한 월세를 비용으로 인정하여 총소득 금액에서 차감하여 과세표준액을 낮춰서 세금을 줄여주는 제도로써, 소득을 낮춰 세율 적용 전에 세금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월세 지출은 현금영수증으로 증빙해야 합니다.

따라서, 직장인이라면 현금영수증으로 소득공제를 받는 것보다, 직장에서 연말정산으로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다만, 연말정산을 못 받으신 분들은 현금영수증을 이용한 소득공제로 받아야 합니다.

2. 연말정산 월세세액 공제 한도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 한도 (공제율) 2023년 기준은 아래와 같고, 관련 규정은 조세특례제한법 제95조의2(월세액에 대한 세액공제)를 참고하세요.

  • 1년 기준 최대 연 750만원 공제
  • 총 급여가 5,500만원 이하면 17% 적용
  • 총 급여가 5,500만원 초과, 7천만원 이하면 15% 적용

조세특례제한법 제95조의2 바로가기

3. 월세 세액공제 조건, 9가지

월세 세액공제는 아래의 조건 9가지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1. 근로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일용근로자는 불가합니다.

2. 총 급여가 7천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3. 현재, 세대주가 아니어야 합니다.

4. 무주택 세대주이고, 주택자금 관련 공제를 받지 않아야 합니다.

  •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공제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 주택마련 저축 공제
  • 월세액 세액공제

5. 과세기간 종료일(12.31.) 현재 세대주와 세대원 전체가 주택을 소유하지 않아야 합니다.

6. 임차한 주택이 국민주택규모의 주택 또는 기준시가 3억원 이하의 주택(주거용오피스텔, 고시원포함)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7. 임대차 계약서상 계약자가 공제받을 근로자 본인 또는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부양가족이어야 합니다.

8. 임차 건물에 전입신고를 해야합니다.

9. 근로자 본인이 월세를 지출해야 합니다.

4. 신청 방법

1. 준비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임대차 계약서 사본, 월세납입증명서 입니다.

임대차 계약서는 건물이 매매되어 임차인이 바었다면 변경전, 후 각 2건의 임대차 계약서 필요 합니다.

월세납입을 통장으로 이체한 경우 임차인의 이름으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접수 방법은 관할 세무소 직접 방문, 국세청 홈텍스 온라인 신청이 있습니다.

국세청 홈텍스 바로가기

5. 월세 세액공제 시 유의사항

지금까지 세액공제를 받는 기본 조건 확인했습니다. 세액공제 시 아래와 같은 유의사항은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1. 공제대상자 확인

공제대상자에는 무주택 세대원, 무주택 단독 세대주, 외국인, 과세연도 중 주택 취득자 등이 있으니 당사자가 어디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공제대상 주택 확인

공제대상 주택에는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 등이 있으니 내가 살고 있는 주거시설이 어디에 해당하는 지 알아야합니다.

주택은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과 공동주택(다세대주택, 연립주택, 아파트)으로 구분합니다.

3. 무주택세대 조건 확인

세대원 주택 보유 조건, 세대분리된 배우자가 주택 소유한 경우 등 각 조건에 따라 상세히 따져봐야 합니다.

4. 세액공제 요건 확인

전입신고의 조건, 대학생 자녀의 월세를 지급한 경우, 배우자 명의로 임대차계약 체결한 경우, 확정일자 조건 등 다양한 세액공제 조건들을 살펴봐야 합니다.

5. 기타 사항 확인하기

세액공제와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중복 여부, 묵시적 계약연장한 경우, 국민주택규모 초과한 경우, 관리비 세액공제 가능 여부, 5년 지난 월세 세액공제 등 더 알아봐야 합니다.

6. 월세 세액공제 집주인 동의 여부

월세 세액공제 시 집주인 동의 필요 없습니다.

혹시, 임대차 계약서 특약에 월세 공제 금지 조항이 있어도 집주인 동의 없이 국세청에 서류 사본 제출하면 됩니다

https://youtu.be/oRbdB8UVf4Y?si=B9poazW5mS7UkOuW

Leave a Comment